본문 바로가기

고양이2

[반려생활백서] 고양이와 집사의 동거, 언제부터였을까요? 고양이의 품종 및 신체적 특징 반려묘와 인간의 동거 야생 고양이들의 가축화는 10,000년에서 12,000년 전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2001년에 가장 오래된 반려묘의 유적이 키프로스 섬 남동쪽의 슬로우로 캄포스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약 9,500년 전의 무덤에서 발견되었으며, 5,300년 전 중국 신석기 주거지에서 발견된 고양이 뼈에 대한 분석 결과 그 당시의 고양이들은 집쥐와 곡식 등을 먹고 살았던 것이 밝혀졌습니다. 인간과 고양이의 공생 관계는 농경의 발달로 이집트 문명이 발생했을 즈음에 곡식 저장 창고에 모여든 쥐를 따라온 것이 시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아라비아 상인들의 실크로드를 통해 유럽과 아시아 전역으로 퍼졌으며, 항해에도 도움이 되어 인간과 함께 항해를 동행하면서 전 세계로 퍼졌습니다. 고양이 품종 연구는 빅토리아.. 2022. 12. 29.
고양이 눈은 왜 밤에 빛날까? 고양이 신체의 비밀 똘망똘망 눈에 숨은 비밀 고양이의 눈이 어둠 속에서 빛나는 이유는 고양이 눈에 인간에게는 없는 ‘휘판’ 이라고 하는 반사층이 있기 때문입니다. 고양이 눈은 인간의 눈보다 40퍼센트나 더 효율적으로 빛을 모을 수 있습니다. 고양이는 움직이는 사물을 재빨리 포착하는 동체시력이 발달했지만 움직이지 않는 사물을 보는 정체 시력은 0.2~0.3 정도로 나쁩니다. 살아오면서 정체 시력보다 동체시력이 더 많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고양이는 야행성 동물이라 새벽녘이나 일몰 후에 활동합니다. 그러므로 어둠 속에서 활동하기에 적합한 눈을 갖게 되었습니다. 또한 사냥감이나 적을 재빨리 찾아낼 수 있도록 동체시력이 뛰어나고 시야가 넓습니다. 고양이의 동공은 인간의 약 세 배까지 커지고, 빛에 대한 감도는 인간의 여섯 배가 넘.. 2022. 12. 26.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