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람찬 하루/행복한 반려생활

강아지 언어와 행동 심리 - 강아지 행동 표현 이해하기

by 단아아범 2022. 12. 22.
SMALL

웃고 있는 웰시코기

개의 행동 심리

개의 행동은 수많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이 중에는 유전, 혈연, 본능, 성품, 기본적 감각, 과거 경험, 생활 환경, 보호자의 태도, 생활 습관 및 기본적인 의욕에 의해서 행동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며, 이러한 모든 요인이 성공적으로 개를 훈련하는 데 영향을 주게 됩니다. 개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이러한 요인들 외에도 개가 보여주는 다양한 행동 형태 또한 고려해야 하며, 개의 행동도 인간의 행동에 사용하는 용어를 이용해서 논의할 수 있습니다. 개들의 행동에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 일반 반려견 보호자들도 훨씬 더 배려하며, 생활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문제 행동들을 예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특히 반려견을 배려하는 행동은 개에게 있어서 보호자를 더 신뢰하게 되고 올바른 리더로서 자연스럽게 각인시킬 수도 있습니다. 행동에 의미를 파악하지 않고 강압적인 훈련만 강요한다면 그것은 훈련이 아닌 학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개에 행동 언어를 관찰하고 연구하여 다양한 행동의 의미들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필수 과정입니다. 

다양한 행동 언어

개의 행동 언어를 관찰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개의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개’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단순한 행동들보다 훨씬 더 다양하고 감정적인 표현을 솔직하게 행동하는 동물입니다. 사람으로 예를 들어, 긴장되는 순간이라면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머리를 긁거나, 몸을 긁거나, 자기 입술을 깨물거나, 땀을 흘리거나, 호흡이 불안정한 사람들도 있을 것입니다. 개들도 마찬가지로 무의식적으로 하는 행동이 있는가 하면 의식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행동으로 명확하게 표현하기도 합니다. 귀를 뒤로 젖히거나, 고개나 시선을 피하거나, 심지어 눈썹 근육의 움직임까지 관찰해보면 다양한 상황과 감정마다 다른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행동 언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관찰하기 위해서 몇 가지 관찰 방법 숙지와 연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사소통 파악 준비

개는 정말 많은 교배와 번식으로 다양한 견종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관찰할 때는 다양한 생김새의 특징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관찰해야 합니다. 특정 견종들은 꼬리가 매우 짧거나 안 보이기도 하고, 얼굴의 생김새, 귀의 생김새, 다리 길이 등을 파악하여야 더 정확한 개에 행동을 읽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베들링턴테리어는 트리밍했을 때 허리가 말려있듯 미용합니다. 이런 생김새를 파악하지 않은 채, 그냥 외적인 모습만으로 보게 되면 허리가 말려있다고 불안하거나 공포, 긴장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웰시코기는 목양견으로 꼬리가 가축들에게 꼬리를 밟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어릴 때 단미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견종을 관찰할 때는 꼬리의 모습으로 행동과 감정 상태를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특징과 행동을 관찰하여 행동 언어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견종마다 특징과 생김새를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상황에서 관찰을 시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전체적인 모습 관찰

개는 온몸을 사용하여 감정을 표현하는 동물입니다. 얼굴 근육, 표정, 눈동자, 시선, 눈썹 근육, 귀 뿌리의 근육, 입, 혀, 몸, 다리, 몸의 무게중심, 배설, 꼬리, 움직이는 속도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감정을 표현하기 때문에 작은 근육의 움직임과 호흡까지도 놓치지 않고 관찰하여 행동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한 부위만 관찰하고 의미를 파악해 보려 해도 절대 정확할 수 없습니다. 모든 행동은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모습을 연결하여 보아야 개의 감정 상태를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상황과 연결하기

모든 행동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특정 상황에 감정 상태와 행동이 다른 상황에 같은 행동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감정 상태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반려견이 하품하고 있다고 가정했을 때, 상황을 모르고 하품하는 것을 생각해 보면 대다수는 “졸리는가?” 혹은 “곧 잠이 들겠군.”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지만 개가 하품하고 있는 상황이 발톱을 자르고 있을 때라고 가정해보면 이것은 행동 언어를 상황과 연결하지 않아 잘 못 파악한 것입니다. 개들은 불편하거나 긴장할 때도 ‘하품’을 하는데 상황을 함께 보지 않는다면 개의 감정 상태를 오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듯 개의 행동을 읽기 위해서는 그 상황도 반드시 파악하고 관찰을 시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음에는 개의 감정에 따른 여러가지 행동 표현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댓글